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는 만 19세에서 39세 사이의 경기도 거주 청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1년간 120만원의 복지포인트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 복지포인트의 신청 자격, 방법, 제출 서류 및 자격 유지 검증 시 유의사항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자격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연령
-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 병역의무 이행 기간만큼 최대 3년 연장 가능
거주지
- 경기도 주민등록 거주자
근무조건
- 경기도 소재 중견·중소기업, 소상공인업체, 비영리법인에서 주 36시간 이상, 3개월 이상 근무
소득기준
- 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118,500원 이하 (월 급여 334만원 이하)
2024년 모집 일정
2024년에는 총 36,000명의 청년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모집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차 모집: 6월
- 2차 모집: 8월 1일부터 12일까지, 13,000명 선발 예정
- 3차 모집: 10월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방법
1. 신청 자격 확인
신청 자격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 만 19세에서 39세 사이의 경기도 거주 청년 근로자
-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소상공인업체, 비영리법인에서 주 36시간 이상, 3개월 이상 근무
- 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가 118,500원 이하
2. 온라인 신청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
3. 제출 서류 준비
청년복지포인트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서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 청년 복지포인트 근무확인서
- 주민등록표초본
-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4대보험 가입자에 한함)
- 급여통장 사본 또는 급여 입금내역 (4대보험 미가입자에 한함)
- 청년 복지포인트 고용임금확인서 (4대보험 미가입자에 한함)
모든 서류는 자격유지검증 시작일 이후 발급 및 작성된 것만 유효합니다.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일부 서류 제출이 생략될 수 있습니다.
4.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신청서를 작성할 때 착오 기재 및 제출서류 미비(누락, 식별불가) 시 선정에서 제외됩니다. 최종 제출 전 신청 매뉴얼을 확인하여 정확하게 작성합니다.
5. 자격 유지 검증
자격 유지 검증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자격 변동 사항이 발생할 경우 콜센터(☎ 1577-0014)로 문의하여 자격 변동 신고를 해야 합니다.
자격 유지 검증 시 주의사항
제출 서류 준비
- 4대보험 가입자는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주민등록표초본,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근무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4대보험 미가입자는 급여통장 사본 또는 급여 입금내역, 주민등록표초본, 청년 복지포인트 고용임금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자격 변동 사항 신고
이직, 퇴직, 휴직, 타 시도로 거주지 이전 등 자격 변동 사항이 발생할 경우, 콜센터(☎ 1577-0014)로 문의 후 자격 변동 신고를 해야 합니다.
검증 참여 필수
자격 유지 검증에 참여하지 않으면 자격이 상실되며,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서류 발급 시기
모든 제출 서류는 해당 월 자격 유지 검증 시작일 이후 발급 및 작성된 것만 유효합니다.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일부 서류 제출이 생략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 점들을 유의하여 자격 유지 검증을 준비하면 원활한 진행이 가능합니다.
요약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는 청년 근로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신청하여 복지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신청 자격 확인부터 서류 제출, 자격 유지 검증까지 철저히 준비하여 원활한 신청 과정을 경험해보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암호화폐 시장 동향 및 규제 변화 – 비트코인, ETF, 트럼프 밈코인 급등 (1) | 2025.01.06 |
---|---|
가족 간 증여세 비과세 한도 총정리 (3) | 2024.11.21 |
서울 명동에 국내 최초 암호화폐 ATM 도입: 새로운 금융 혁신의 시작 (44) | 2024.07.26 |
어텐션 이코노미: 주목의 가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 (47) | 2024.07.22 |
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과 금값 상승 (51) | 2024.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