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ety

분리수거, 진짜 효과가 있을까?

by 애일리언 2024. 6. 8.

우리나라는 분리수거를 잘 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페트병에서 라벨을 제거하지 않고 분리수거하다가 걸리면 최대 30만원(1차 10만원, 2차 20만원, 3차 30만원) 벌금을 내야 합니다. 음식물만 분리배출하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분리수거를 엄격하게 지키는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왜 분리수거를 강조하는 걸까요?

자원을 수입하는 나라

알루미늄, 철 등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자원을 수입합니다. 돈을 주고 사온 자원을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재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제적 이유로 인해 분리수거가 강조됩니다.

원래는 쓰레기를 수출했어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수많은 재활용 쓰레기들은 다른 나라에 수출되었습니다. 쓰레기를 수입한 나라들은 그 쓰레기에서 나온 자원들을 재가공해 자재나 연료 등을 만들었죠. 쓰레기를 수입한 대표적인 나라가 바로 중국인데요. 그런데 2018년, 중국쓰레기 수입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중국으로 수출하던 쓰레기들이 갈 곳을 잃게 된 거예요. 심지어 우리나라의 경우 비어 있는 땅이 거의 없어 쓰레기를 매립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나온 쓰레기를 소각하면 심각한 환경 문제와 더불어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죠. 이후 재활용률을 더 높이기 위해 분리배출 제도가 더 강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분리배출, 과연 효과적인가?

재활용률이 낮은 이유는?

하지만 분리수거를 해도 실제 재활용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트병라벨지가 붙어 있거나 플라스틱으로 코팅종이류가 섞여 있거나 깨진 유리 등이 그렇죠. 이는 분리배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실제로는 많은 자원이 재활용되지 못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과연 소비자 책임만 있는가?

소비자들에게만 분리배출의 책임을 지우는 것은 불공정합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도 분리배출이 용이한 제품을 만드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분리배출 표기를 명확히 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을 채택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시스템의 문제점

분리수거 시스템 자체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분리수거된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재활용률을 낮추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시스템 개선 없이 소비자에게만 책임을 묻는 현재의 접근 방식은 한계가 명확합니다.

결론

우리나라는 분리수거 제도를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소비자 교육에 그치지 않고, 기업과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진정한 분리수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